생성형 AI 시대의 비판적 사고: 보건의료 교육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의대 교육에 AI 이용에 대한 비판적인 주장이 나오고 있다. |
AI가 이제 의료 교육의 판도를 바꾸고 있다. 질병 진단 지원부터 문헌 요약, 논문 초안 작성에 이르기까지, ChatGPT와 같은 생성형 AI는 건강과학 교육의 일선에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그러나 이 혁신의 이면에는, 인간 고유의 '비판적 사고' 능력을 잃어버릴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AI의 편리함이 인간의 사고를 마비시키는가?
논문은 GenAI(Generative AI)의 빠른 확산이 학생과 의료 종사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한편, 과도한 의존으로 인해 독립적 문제 해결 능력과 비판적 사고가 퇴화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예를 들어, 문헌 해석이나 진단적 추론은 AI가 대체할 수 없는 영역인데도, 사용자들이 AI 결과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할 경우 지적 게으름(intellectual complacency)에 빠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단순한 추측이 아니다. 실제로 GenAI가 생성한 정보에는 오류, 환각(hallucination), 윤리적 맥락의 결여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특히 의료 분야에서 치명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학생들이 빠르게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GenAI에 의존하게 되면, 비판적 독해 능력과 메타인지적 사고가 약화될 수 있다.
AI는 '지능'이 아니다: 모방과 창조의 경계선
흥미롭게도, 이 논문은 '지능(intelligence)'과 '성취(achievement)'를 구분한다. GenAI는 기존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학습하고, 그 안에서 가장 확률 높은 문장을 생성하는 시스템이다. 이는 인간처럼 새로운 문제에 대한 창의적 해결책을 찾는 '지능'이라기보다는, 기존 지식을 적절히 재구성하는 '모방'에 가깝다.
실제로 ChatGPT와 같은 LLM은 혁신적 문제 해결보다는, 과거에 존재했던 답을 반복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 이런 기술이 교육 현장에 깊이 침투할수록, 학생들은 '왜'보다는 '무엇'에 집착하게 되고, 이는 장기적으로 학문과 임상의 질을 저해할 수 있다.
교육기관의 책임: AI를 '교사'가 아닌 '조교'로 인식하기
논문은 명확히 말한다. AI는 인간을 보조하는 '증강 지능(augmented intelligence)'이지, 인간을 대체하는 '완전한 지능'이 아니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AI 도구의 사용을 장려하되, 다음과 같은 원칙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 AI 사용의 투명성 확보: 과제나 논문에 AI 사용 여부 명시
* AI 리터러시 교육 필수화: AI의 작동 원리, 한계, 오류 탐지 능력 훈련
* 비판적 사고 중심의 커리큘럼 재구성: 단순 정답보다 탐구과정 중시
* 사람 중심 AI 설계 지향: 자동화와 인간의 통제를 균형 있게 조화
예컨대, 미국 일리노이 의과대학의 AI-MED 프로그램이나 싱가포르 국립대학의 의생명정보학 커리큘럼은 이러한 방향성을 잘 반영하고 있다.
비판적 사고를 되살리는 교육적 제언
교육자가 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도 제시된다. AI가 생성한 내용을 학생이 직접 검토하고,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비교하는 과제를 부여함으로써, 학습자는 '생산자'가 아닌 '비판적 평가자'로서의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인간 고유의 감성지능, 문화적 맥락 이해, 윤리적 판단력은 여전히 AI가 대체할 수 없는 핵심 역량이다.
더 나아가, 의료현장에서 AI의 활용이 환자의 생명과 직결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무조건적 신뢰'보다는 '조심스러운 파트너십'이 요구된다. 한 예로, AI 기반의 패혈증 예측 모델이 잘못된 경고를 주어 치료가 지연된 사례는 AI 오남용의 위험성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결론: AI와 인간, '협업'이 답이다
이 논문은 단순히 AI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데서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AI의 장점을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인간의 비판적 사고, 윤리적 판단,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을 지켜내야 한다는 균형 잡힌 시각을 제시한다.
교육은 속도보다 깊이가 중요하다. 우리는 AI의 능력을 칭송할 것이 아니라, 그것을 어떻게 '비판적으로 활용'할지를 가르쳐야 한다. 그래야만 데이터는 '지식'이 되고, 지식은 '지혜'로 승화될 수 있다.
---
출처:
Naqvi WM, Ganjoo R, Rowe M, Pashine AA and Mishra GV (2025) Critical thinking in the age of generative AI: implications for health sciences education. Front. Artif. Intell.